[Project] ERP 프로젝트 시작
Categories: Project
📌 개인적인 공간으로 공부를 기록하고 복습하기 위해 사용하는 블로그입니다.
정확하지 않은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바랍니다 :😸
[틀린 내용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복받으실거에요]
ERP 기업프로젝트
두 번째 프로젝트 시작인데 기업이 오후 5시에 온다고해서 그동안 ERP에 대해 간단히 찾아봤음에도 불구하고,
5시에 막상 설명을 듣고 나니 생각보다 훨씬 복잡하고 생소한 느낌이었다.
ERP라는 게 다양한 프로세스와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보니, 프로젝트의 범위를 잘 설정해야 할 것 같았다. 시간이 부족해서 우선 팀원들과 ERD부터 구상하기로 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ERP 시스템 중 영업 파트에만 집중하기로 했다. ERP에서 영업, 마케팅, 고객 히스토리(CRM)까지 다루는 부분이 있지만, 영업 파트만으로도 충분히 도전적인 목표가 될 것 같았다.
표준화의 필요성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배운 것 중 하나는 표준화의 중요성이었다. 예를 들어 “현대차”와 “현대자동차”는 우리가 같은 회사로 인식하지만, 시스템에서는 다르게 인식될 수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를 코드화하고 표준화하는 것이 필수라는 걸 알게 됐다.
이번 프로젝트의 1차 목표는 프로세스 정의, 데이터베이스(DB) 확정, 그리고 UI 설계를 완성하는 것이다. 시간이 짧아서 5일까지 ERD, 화면 정의서, 요구사항 정의서, API 명세서, 유저 플로우를 만들어야 한다. 다들 바짝 긴장하고 작업에 들어갔다.
회의 내용 정리
-
대상 고객 및 산업 선정 처음에는 대형 소매점을 타겟으로 할지, 아니면 제조사나 가구회사를 타겟으로 할지 논의했다. 코스트코, 이케아, 이마트 트레이더스 같은 대량 판매 기업도 고려했지만, 결국 제조업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특히 다양한 고객에게 다른 가격으로 제품을 판매하는 시스템을 구현할 계획이다. 제조업 ERP는 복잡한 가격 체계나 다양한 고객층을 다루는 데 적합한 선택이었다.
- ERP 시스템 기능 및 구조
- 이번 ERP 시스템에서는 재고 관리 시스템에 초점을 맞추기로 했다. 중요한 포인트는 UI/UX를 심플하고 기능성 중심으로 설계하는 것. 복잡한 인터페이스보다는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필요한 기능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
마스터 데이터 간의 연관 관계는 복잡하게 얽지 않기로 했다. 필요한 데이터를 조회한 후, 필요한 경우에만 덮어쓰는 방식으로 유연성을 높이고 맞춤형 기능을 추가할 수 있게 설계했다.
- 주요 마스터 데이터:
- 판매부번 마스터
- Buyer 마스터
- 판매가격 마스터
- 승인권한 마스터
각 마스터 데이터는 시스템의 핵심을 담당하며, 판매부번 마스터와 Buyer 마스터에는 단위 필드가 필수로 포함될 예정이다.
-
추가 고려 사항 ERP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추가로 고려해야 할 점도 많았다. 예를 들어 해외 거래를 다룰 경우 환율 변동을 반영해야 할 필요가 있지만, 우선 핵심 기능 구현에 집중한 뒤 나중에 추가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기로 했다.
또한, 보안 문제도 빼놓을 수 없었다. 기본적인 보안을 갖추되, 이후 단계에서 더욱 강화할 수 있도록 설계할 계획이다. 아무리 기능이 뛰어나도 보안이 뚫리면 말짱 도루묵이니까.
-
테이블 설계 및 문서화
테이블 설계는 ERD와 엑셀 문서 두 가지 형태로 병행해서 작성하기로 했다. 테이블의 명명 규칙과 컬럼 정의는 명확히 해서 실제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와 일치하도록 문서화할 예정이다. 특히, 프로젝트 진행 중 테이블 간의 연관 관계를 미리 설정하지 않고, 필요한 데이터를 조회 후 덮어쓰는 방식으로 관리하기로 했다. 이 방식은 유연한 시스템 구축에 유리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계획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몇 가지 구체적인 계획을 세웠다:
- 주요 타겟 고객을 명확히 정해야 한다. 실제 소비자를 대상으로 할 것인지, 아니면 중간 고객(대형 소매점 등)을 대상으로 할 것인지 결정이 필요하다.
- 테이블 설계와 유저 플로우 작업을 먼저 완료하고, 이후에는 기능 구현에 집중할 계획이다.
- 회의 중 나온 여러 아이디어를 토대로 프로젝트 진행 상황에 따라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 특히 UI와 프로세스 흐름을 어떻게 최적화할지에 대한 논의는 앞으로도 중요할 것이다.
시간이 촉박해서 빨리 진행해야 하지만,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ERP 시스템의 복잡한 구조와 표준화의 중요성을 배우게 되어 정말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것 같다.
팀원들과 함께 열심히 달려봐야지!
Leave a comment